반응형
요즘처럼 추운 날씨가 지속되면 면역력이 크게 떨어집니다. 그래서 감기나 독감 같은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죠.
하지만 감기처럼 온몸이 욱신대고 오한과 발열이 나지만 감기가 아닌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대상포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대상포진의 초기증상, 전염성 그리고 예방접종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01. 대상포진이란?
02. 대상포진의 증상, 초기증상
03. 대상포진 전염
04. 대상포진 예방접종
05. 대상포진 치료
01. 대상포진이란?
-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는 어릴 때 수두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와 같은 것입니다.
- 어릴 적 수두가 치료된 후에도 바이러스가 사라지지 않고, 우리 몸속의 신경을 타고 척수 속에 오랜 기간 동안 숨어있습니다.
- 그러다 우리의 몸이 약해져서 면역기능이 떨어져 있을 때 다시 활성화되어 이 병을 일으킵니다.
- 주로 대상포진은 60세 이상의 고령자이거나 AIDS, 혹은 암 등이 있는 환자, 항암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등 면역기능이 떨어진 분들이 쉽게 걸립니다.
- 특히 50세 이상의 여성에게도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그리고 젊은 사람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이 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대상포진의 특징은 신경 중의 하나를 따라서 퍼진다는 점입니다.
- 우리 몸의 신경은 척추에서 오른쪽, 왼쪽으로 한 가닥씩 나와있기 때문에 대상포진에 걸리면 몸의 한쪽에만 통증과 수포를 동반한 피부 병변이 발생합니다.
- 또한 신경 중에서도 감각신경과 운동신경 중 주로 감각신경에 침범합니다
02. 대상포진 증상, 초기증상
대상포진은 주로 몸통이나 엉덩이 부위에 생깁니다. 그러나 신경이 있는 부위이면 얼굴, 팔, 다리 등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초기증상: 피부에 불쾌감을 느끼며, 몸의 한쪽 편으로 심한 통증이나 감각 이상이 나타납니다.
- 발병 3-4일 후: 띠 모양의 가늘고, 줄을 이룬 모양의 발진이 발생하며, 발진은 점차 팥알크기의 수포(물집)로 바뀝니다. 드물게 발진 없이 통증만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증상이 심할 때는 피부가 심하게 손상되어 궤양을 만들어 회복 기간도 길어지며 흉터도 남게 됩니다.
- 피부발진이 발생한 장소에 따끔따끔한 통증과 함께 그 곳부터 신경을 따라 퍼지는 신경통 비슷한 통증이 생깁니다.
- 발병 7-14일 후: 수포가 고름이 차며 색깔이 탁해지다가 딱지로 변합니다.
- 발병 1개월 후: 피부 병변이 회복됩니다. 하지만 통증은 몇 달 혹은 몇 년까지도 지속되기도 합니다.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은 통증입니다. 통증은 몸의 한쪽 부분에 국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수포는 2~3주 정도 지속됩니다. 수포가 사라진 후 농포, 가피가 형성되며, 점차 사라집니다.
통증은 병변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포진 후 신경통입니다.
드물게 수포 없이 통증이 발생하거나 통증 없이 수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03. 대상포진 전염
- 이미 수두를 앓은 적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 이전에 수두를 앓은 적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전염이 가능하고 수두의 형태로 발생합니다.
- 대상포진 환자의 물집이 터져 진물이 흐르게 되면 이 진물에 의해 전염될 수 있습니다.
- 만약 수두를 앓은 적이 없는 사람이 대상포진 환자와 접촉했다면 예방접종하는 것도 하나의 예방법입니다.
04. 대상포진 예방접종
-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1회 권장되며 가격은 10~15만원 선입니다.
- 지차체 별로 고령자에 대해 무료 예방접종 지원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평생 대상포진에 걸릴 확률이 10~30% 라고 합니다.
- 50세 이후로는 걸릴 확률이 매우 증가하니 예방접종을 맞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모든 백신이 그렇듯 100% 예방할 수 없으나 대상포진에 걸렸을 경우 통증이 50% 경감된다고 합니다.
05. 대상포진 치료
- 대상포진 치료는 수포 발생 3일~5일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일주일 정도 주사하면 대부분 완치됩니다.
- 동시에 진통제 등을 투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그러나 치료 시작이 늦거나 고령인 경우 또는 암이 있는 경우에는 주사치료 후에도 통증이 계속될 수 있습니다.
- 이 질환이 한 번 발생했다고 면역이 생기는 것은 아니며 다시 생길 가능성도 있지만 재발률은 0.1~1% 정도에 불과합니다.
반응형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플리증후군은 없는병? 도시전설? (1) | 2023.01.10 |
---|---|
노로바이러스 기본정보, 증상과 예방 방법, 치료 (0) | 2023.01.10 |
코로나 확진자 격리기간 및 대처 방법은? (1) | 2023.01.04 |
코로나 2가백신 접종예약 종류 부작용 화이자, 모더나 잔여백신 가격 (0) | 2022.12.30 |
코로나 백신 접종 증명서 발급방법 (예방접종 전자 증명서 앱) (0) | 2022.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