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눈건강

색약 테스트 검사 적록색약 적녹색약 색맹와 차이점

by 웰빙백서 2023. 1. 9.
반응형

 

색약이 있는 사람들은 일반 사람들보다 색에 대한 감각이 부족해 특정한 색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느낍니다. 그렇다면 색약은 왜 생기는지, 어떤 증상인지, 나도 색약인지 한번 색약 테스트를 통해 알아봅시다.

 

목차
01. 색약의 원인
02. 색약의 증상
03. 색약 테스트
04. 색약과 색맹의 차이점


01. 색약의 원인

  • 색약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선천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이 있죠.
  • 선천적 색약은 태어날 때부터 시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합니다.
  • 후천적 색약은 당뇨와 같은 만성 질환, 망막 및 시신경 손상, 망막 질환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02. 색약의 증상

  • 색약은 대부분 적색약, 녹색약입니다. 
  • 즉, 물체의 색깔이 빨간색(적색계)에 인접해 있을 때 녹색(녹색계)으로 보이거나, 녹색(녹색계)에 인접해 있을 때 빨간색(적색계)으로 보이는 현상입니다.
  • 같은 녹색이라도 명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중간 명도의 색은 구별할 수 있지만, 명도가 아주 흐리거나 진하면 본래의 색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 색약은 색은 보이지만 비슷한 계열의 색상들을 구별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 특히 원거리 색이나 채도가 낮은 색을 잘 식별하지 못합니다. 


03. 색약 테스트

그렇다면 본인이 색약인지 아닌지 테스트 이미지를 준비했습니다.

본인이 색약인지 아닌지 한번 색약 검사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색 구분이 잘 되셨나요?

위 테스트에 대한 결과 해석 방법입니다.

 

색약은 도대체 색을 어떻게 보는 걸까요?

당신의 눈이 정상이라면 다음 사진을 보며 색약의 시각을 알려드릴게요!

 

 


04. 색맹과 색약 차이점

  • 간단하게 설명하면 색맹은 색깔을 완전히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고 색약은 색은 식별할 수 있으나 정상인에 비해 구분 능력이 부족한 것을 말합니다.
  • 망막에는 어두운 곳에서 색을 감지하는 막대세포, 밝은 곳에서 감지하는 원추세포가 있는데, 이 중 원추세포는 빨강, 파랑, 초록을 감지하고 구별합니다. 
  • 이 원추세포에 이상이 있으면 색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구분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이런 것을 통틀어 '색각이상'이라 하고, 완전히 인식 못하면 색맹이고 구분 능력이 떨어지는 정도가 색약인 것이죠.
  • 색약과 색맹은 모두 색소 결핍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