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질병정보29

코로나 백신 접종 증명서 발급방법 (예방접종 전자 증명서 앱) 코로나 백신을 맞은 뒤, 접종사실을 안전하게 스마트폰에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코로나 백신 접종 증명서를 'COOV 어플'을 통해 발급 및 보관하는 것인데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 안전한 증명서 보관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해외에서도 백신 접종 사실을 손쉽게 증명할 수 있는 이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01. 발급방법 02. 제출방법 03. 검증방법 01. 발급방법 COOV 쿠브 앱을 다운 받습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go.kdca.coov 질병관리청 COOV(코로나19 전자예방접종증명서) - Google Play 앱 코로나19 전자예방접종증명 play.googl.. 2022. 12. 30.
코로나 확진, 가족과 동거인 격리는? (pcr검사, 가족돌봄 휴가 지원금, 자가격리) 코로나19 확진자가 줄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 가족들도 예외는 아닌 상황이 되었습니다. 가족이 확진되었을 때, 함께 살고있는 사람으로서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모두의 건강을 챙기는 일인지 알아봅시다. ■ 목차 01. 확진자 동거인 행동요령 02. 가족돌봄 휴가 및 지원금 종료 03. 자가격리자 수칙 01. 확진자 동거인 행동요령 확진자 검사일(검체채취일) 기준 3일 이내 동거인은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해야 합니다. 수동감시 기간은 확진자 검사일(검체채취일) 기준 10일차까지입니다. 수동감시란 발열, 호흡기 증상이 있다면 보건소로 연락하는 것을 말하죠. 가족들도 몸에 문제가 있다면 바로 연락을 취해야 하는겁니다. 또한 확진자와 철저히 공간을 분리하여 생활해야 합니다. 일상 생활 용품(수건, 식.. 2022. 12. 29.
코로나19 치료제 먹는약 팍스로비드, 라게브리오 비교 코로나 19 먹는 치료제가 긴급 승인된 이후, 꾸준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먹는 치료제로는 ‘팍스로비드’와 ‘라게브리오’가 사용되고 있죠. 투여 가능 기준은 무엇인지, 복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고 드시는 것이 중요하죠. ■목차 01. 비교 요약 02. 팍스로비드 복용시 주의사항 03. 레게브리오 복용시 주의사항 01. 비교 요약 - 효과가 더 좋은 팍스로비드를 복용하는 것이 낫지만 투약 가능 기준이 되지 않는다면 라게브리오를 투약할 수 있습니다. - 두 약 모두 의사선생님과 상담을 통해 복용을 거부할 수도 있고,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 화이자에서 만든 '팍스로비드'와 머크앤드컴퍼니에서 만든 '라게브리오'는 투약방법, 병용금지 의약품, 투약 제한 대상, 입원 및 사망 감소 효과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2022. 12. 29.
코로나 확진자 생활지원금 신청방법은? (대상, 온라인신청, 서류, 홈페이지) 코로나로 인한 피해는 아직 여전합니다. 코로나 19에 감염되면 사회활동, 소득활동은 중단되고 생활자금이 부족해질 수 있죠. 그래서 2023년 1월 1일부터 변경되는 코로나 확진자 생활지원금과 유급휴가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00. 요약 01. 생활지원비 02. 유급휴가비용 00. 요약 ○ 생활지원비는 가구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 금액에 해당하는 입원・격리자입니다. > 신청은 정부24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가능합니다 정부24 홈페이지 - www.gov.kr ○ 유급휴가비는 코로나19로 입원・격리 통지를 받은 근로자에게 유급휴가를 제공한 근로자가 30명 미만인 사업장의 사업주입니다. > 국민연금 EDI서비스에서 사업장가입자명부(전체)를 출력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 2022. 12. 29.
뇌먹는 아메바?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아메바 위험성, 예방 얼마 전 뇌 먹는 아메바로 인해 50대 남성이 사망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4개월 동안 태국에서 머물렀던 이 환자는 감염이 된 이후 10일 만에 사망했습니다. 아메바로 인해 무서운 일이 발생했습니다. 도대체 얼마큼 위험한 아메바인지, 감염 예방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01. 뇌 먹는 아메바란? 02. 감염 경로 03. 아메바 위험성 04. 예방 방법 01. 뇌 먹는 아메바란? 뇌를 먹는 이 아메바는 1965년 처음 발견된 종입니다. 정식 명칭은 Naegleria fowleri 이죠. 단세포 생물이다 보니 너무 작아서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따듯한 호수나 강, 온천에서 발견되고 오염된 물에서도 발견됩니다. 02. 감염 경로 파울러자유아메바에 감염된 50대 남성이 사망했습니.. 2022. 12. 28.
코로나 후유증? 만성코로나가 되나? (롱코로나) 코로나19가 완전히 나았지만 여전히 몸에는 후유증세가 나타납니다. 혹시 본인이 코로나19 진단 이후 12주가 지났지만 여전히 증세가 나타난다면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일 수 있습니다. 만성 코로나19 증후군 만성 코로나19 증후군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피로감, 호흡곤란, 우울․불안, 인지저하 등 건강이상 현상이 나타납니다. ​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 후 대부분의 증상은 몇 주 이내에 호전되지만, 몇몇 증상이 12주 이상 지속된다면 만성 코로나19증후군을 의심하고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 * 하지만 아래 경우에는 만성 코로나19증후군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코로나19 급성기 또는 아급성기 합병증으로 정맥혈전색전증, 심근염, 심낭염, 뇌염 및 갑상선염 ​ 만성 코로나19 증후군.. 2022. 12. 22.
반응형